1) 단항(증감) 연산자: ++, --
- 형식: 변수++, ++변수, 변수--, --변수

int i = 10;

System.out.println(++i);   //11
System.out.println(i++);   //10   i값(10)을 먼저 출력하고 난 뒤, i에 1을 더함
System.out.println(i);     //11

 

 

2) 사칙(산술)연산자: +, -, *, /, %(모듈러)
- %(모듈러): 나눈 나머지 값이 출력됨 예) 10 % 2 = 0    ▸홀짝 계산에 주로 사용

 

 

3) 접합연산자: + (문자열의 결합)
- 문자열 + 문자열
예) “이름: ” + “홍길동” ⇒ 이름: 홍길동

예) “값 = ” + 100 + 100 ⇒ 값 = 100100
      “값 = ” + (100 + 100) ⇒ 값 = 200

 

 

4) 비교연산자: <, >, <=, >=, ==, !=
- 제어문의 조건절을 나타내는 if문, switch문의 조건식에 사용됨
- 비교연산자의 결과값은 boolean 타입으로 출력됨

 


5) 논리연산자(shortcut): &&(AND), ||(OR), !(NOT)

(비교연산식) && (비교연산식) ▸둘 다 true여야만 true
true true ------> 결과값: true
true false ------> 결과값: false

(비교연산식) || (비교연산식) ▸둘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
true false ------> 결과값: true
false false ------> 결과값: false

 

 

6) 조건연산자(삼항연산자)
- 형식 ⇒ 조건식(비교연산식) ? 식1 : 식2 ▸조건식이 true면 식1, false면 식2
예) 10<9 ? “참” : “거짓” //거짓
      (5>3) && (5==3) ? true : false        // false
      101%2 == 0 ? “짝수” : “홀수”         // 홀수

 

 

7) 대입연산자(중첩연산자)

int value = 100;
value += 100; (value = value + 100)

value *= 20; (value = value * 20)

value /= 100; (value = value / 100)

 

 

 

 

 

 

 

'백엔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인터페이스(interface)  (0) 2021.03.16
[Java] 상속  (0) 2021.03.16
[Java] 배열  (0) 2021.03.09
[Java] 조건문, 반복문  (0) 2021.03.09
[Java] 변수  (0) 2021.03.09

< 변수 >

- 변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 선언방법: 데이터타입 변수명 = 데이터;

              예) int age = 20;

                  String address = "수원";

- 로컬(지역)변수: 메서드 {} 안에서 정의되는 변수. 메서드가 종료되면 함께 사라진다. 

- 전역변수: 클래스 안의 여러 메소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 데이터타입 >

* 기본형(Primitive Data Type) : 데이터타입 변수명 = 기본형데이터;

  - 정수형 : byte(1), short(2), int(4), long(8)

  - 실수형 : float(4), double(8)

  - 논리형(true/false) : boolean(1)

  - 문자형 : char(1)

  - 기본형 데이터는 변수에 값을 직접 저장한다.

  → 괄호 안의 숫자는 각 타입마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단위: byte)를 나타낸 것이다.

 

* 참조형(Reference Data Type) : 데이터타입 변수명 = new 참조형데이터;

  - Class, Interface, 배열, 열거, String 등 ..
  - 참조형 데이터는 변수에 객체의 주소(번지)값을 저장한다.

  - 예) double[] heightList = new double[5];  //배열

 

* String은 원래 참조형이지만 예외적으로 기본형으로도 선언이 가능하다.

  - 기본형 형태: String name = "이루리";

  - 참조형 형태: String name = new String("이루리");

 

 

< 변수 저장공간 >

메모리에는 여러 공간이 있다.

기본형 변수는 Stack이라는 공간에 바로 저장되지만, 참조형 변수는 크기가 커서 stack에 바로 저장되지 않는다.

참조형 변수는 Heap이라는 공간에 생성되고 Stack에 생성된 참조변수(변수명)가 Heap에 생성된 변수의 주소를 참조한다(가리킨다).

String fruit1 = new String("살구");
String fruit2 = new String("살구");

System.out.println(fruit1 == fruit2);  // >>> false

fruit1과 fruit2를 비교하면 같다는 결과가 나올 것 같지만, 실행해보면 다르다는 결과가 나온다.

new연사자를 통해 "살구"라는 값을 가진 새로운 String 변수가 각각 Heap에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fruit1과 fruit2는 각각 생성된 변수의 주소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둘을 비교하면 다르다는 결과가 나온다. (서로 다른 주소값을 가지고 있음)

안에 들어있는 "살구"라는 글자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fruit1.equals(fruit2) 를 이용하여 값을 가지고 비교해야한다. >>> 비교 결과 = 같음.

 

 

< 기본형 데이터 타입의 형변환 >

- 형변환: 변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묵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이 있다.

- 묵시적 형변환: 크기가 작은 데이터 타입을 크기가 더 큰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 

//묵시적 형변환
byte b = 1;
int i = b;

   └→ 크기가 작은 데이터타입의 값을 크기가 더 큰 데이터타입에 넣을 때는 자동으로 형변환이 진행된다.

   └→ byte(1byte) int(4byte)

 

- 명시적 형변환: 크기가 큰 데이터 타입을 크기가 더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

//암시적 형변환
double d = 50.245;
int i = (int) d;

   └→ 크기가 큰 데이터타입의 값을 크기가 작은 데이터타입에 넣을 때는 형변환을 하겠다고 명시해줘야한다.

   └→ 값이 손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변환해주지 않는다.
   └→ double(8byte) int(4byte)

 

 

 

 

 

'백엔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인터페이스(interface)  (0) 2021.03.16
[Java] 상속  (0) 2021.03.16
[Java] 배열  (0) 2021.03.09
[Java] 조건문, 반복문  (0) 2021.03.09
[Java] 연산자  (0) 2021.03.09

사용해본 단축키 추가하기!

 

기능

단축키

System.out.println

sysout 쓰고, [ Ctrl + 스페이스바 ]

문장 복사

복사하고자 하는 문장에 커서를 놓고 [ Ctrl + Alt + ↓ ]

여러 줄 한 번에 주석 처리하기

원하는 문장 긁어서 [ Ctrl + /  ], 한 번 더 누르면 해제

특정 구간 주석 처리 (문장 중간도 가능)

원하는 구간 긁어서 [ Ctrl + Shift +  /  ]

행 지우기

지우고자 하는 문장에 커서 놓고 [ Ctrl + D ]

import 넣기

[ Ctrl + Shift + O ]

자동정렬(줄 정리)

[ Ctrl + Shift + F ]

문장 이동

[ Alt + 방향키 ]

클래스에 setter/getter 추가

[ Alt + Shift + S ] 후 선택

전체화면

[ Ctrl + M ]

 

'개발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Maven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0) 2023.07.03
[STS4] 자바 버전 변경  (0) 2023.05.26
[Lombok] 설치 및 설정  (0) 2023.05.26
[Eclipse] 테마 변경하기  (0) 2023.01.16
[VSCode] 마우스 휠 확대/축소 설정하기  (0) 2022.02.05

+ Recent posts